제치장 콘크리트
▒ 기출문제
- 103회 3교시 5번 : 건축공사에서 노출콘크리트 구조물의 품질확보를 위한 시공계획 및 시공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95회 4교시 2번 : 제치장콘크리트(Exposed Concrete)의 거푸집설치, 철근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82회 2교시 6번 : 제치장 콘크리트의 특징 및 품질관리 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71회 3교시 6번 : 제치장 콘크리트 품질 확보를 위한 거푸집 설계 및 시공시 유의사항을 기술하시오.
- 66회 3교시 6번 : 노출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품질관리 사항을 거푸집, 철근, 콘크리트 공사별로 기술하시오.
▒ 개요
1) 제치장(노출) 콘크리트란 마감재료를 시공하지 않고 콘크리트 자체의 색상 및 질감으로 마감하는 콘크리트이다.
2) 콘크리트 표면 자체가 마감으로, 시공 및 재료적인 측면에서 철저한 사전준비가 필요하다.
▒ 특징
|
1) 장점 ① 마감자재의 절감 ② 자중의 감소 ③ 환경 친화적 ④ 공기단축 가능 |
2) 단점 ① 거푸집 공사비 증가 ② 전문 인력 수급 곤란 ③ 하자발생시 보수가 어려움 ④ 품질관리 어려움 |
▒ 노출 콘크리트 결함의 종류
1) 시공적인 측면
|
① 콘주변 색상차이 ③ 문양의 연속성 결여 ⑤ 표면박리 ⑦ 재료분리 ⑨ 수직도 불량 |
② 균열 ④ 개구부 치수 불일치 ⑥ 표면기포 ⑧ 평활도 불량 ⑩ 파라펫 구배 불량 |
2) 재료 및 유지관리적인 측면
① 색상차이(얼룩)
② 백화
③ 녹물
④ 철근 부식
▒ 품질관리 방안
1) 설계단계 (균열, 이어치기 불량 방지)
① 패널, 콘, 줄눈 분할 계획 수립
② 입면, 단면의 단순화
2) 재료선정 단계 (색상차이, 재료분리, 곰보 발생 방지)
① 시멘트는 분말도가 낮고 한 회사의 제품만 사용
② 굵은 골재 치수는 19mm 또는 13mm 사용
③ 잔골재는 같은 산지확인 및 골재시험성적서 확인
④ 혼화재료 선정시 충분한 검토 필요
3) 시공단계 (평활도 확보 및 모르타르 유출, 배부름, Cold Joint, 재료분리, 곰보, 기포, 모서리 파손 방지)
① 거푸집의 평활도, 수직도 확보
② 거푸집 접합부 정밀 시공
③ 문양거푸집 나누기 및 결속상태 철저
④ 긴결철물 적정간격 시공
⑤ 최소피복두께 확보
⑥ 개구부 주위 보강 철저
⑦ 콘크리트 타설 높이 및 속도 준수
⑧ 적정한 진동다짐 및 거푸집 표면 진동 다짐
⑨ 운반 및 타설 시간 준수
⑩ 충분한 습윤양생 후 거푸집 해체
▒ 노출 콘크리트 보수·보강 공법
1) 부분보수공법
① 노출콘크리트의 자연미를 최대한 살리는 공법
② 오염제거, 재료분리, 모서리 탈락 등 문제 부위 집중 보수
③ 고도의 보수 기술이 필요
2) 전면보수공법
① 노출콘크리트면 전체를 표면 처리하는 공법
② 전체적으로 깨끗한 품질 확보
③ 노출 콘크리트의 자연미 저하
3) 미장공법
① 부분 보수공법과 연관되는 공법
② 무기질계 보수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보수
4) 도장공법
① 도막형 색조 발수제
② 수지계 페인트 사용
▒ 참고문헌(출처)
- 노출콘크리트의 현황 및 발전방향 / 정태웅 (한국시멘트협회)
- 노출콘크리트 품질의 개선방안 / 권상인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