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Value Engineering)
▒ 기출문제
- 93회 1교시 5번 : V.E.(Value Engineering)
- 78회 4교시 6번 : 공동주택 건축설계단계에서의 VE적용방법과 절차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73회 3교시 6번 : V.E.(VALUE ENGINEERING)의 개념과 시공단계에서 건설V.E의 필요성과 그 효과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64회 2교시 4번 : 건설 V.E(Value Engineering)의 개념과 적용시기 및 그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63회 1교시 12번 : VECP(Value Engineering Change Proposal) 제도
▒ 개요
① VE란 최소의 생애주기비용으로 시설물의 필요한 기능을 확보하기 위한 기능분석에 쏟는 조직적 노력
② VE의 목적은 그 대상이 무엇이든 그것의 가치를 증진시키는데 있다.
▒ VE의 개념
① 기능(Function)을 향상 또는 유지하면서 비용(Cost)을 최소화하여 가치(Value)를 극대화 시키는 것
② 효과적인 VE는 LCC가 최소일때
▒ 가치향상의 유형
▒ VE의 목표
① 원가절감 및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설계 대안의 발굴
② 시공성 개선 또는 실행공사비를 줄일 수 있는 시공 공법의 발굴
③ 공사기간의 단축, 설계단계에서 해결하지 못한 취약분야 설계 개선
④ 전 공종에 대한 설계 개선안 도출
⑤ 신기술, 신자재 발굴을 통한 이익 극대화
▒ VE의 효과
① 전반적인 프로젝트에 대한 신뢰성 있는 점검 가능
② 건설공정의 생산성을 향상하여 기업이익 창출에 기여
③ 개선 결과를 DB화하여 기업 Know-How의 축적 및 활용 가능
④ 시공단계에서의 VE기법 활용은 시공성 향상이 가능함
▒ VE 활동의 사고방식
① 사용자중심 사고방식
VE에서 가치(Value)란 시설물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기능을 만족시키면서 최소의 비용을 들여서 가치 향상
② 기능중심 사고방식
시설물에 반드시 필요한 기능을 파악하고 그외 불필요한 기능을 제거하여 가치 향상
③ 조직적 활동의 중시
구성원들의 조직적, 적극적 방법으로 전문화된 지식을 통합하고 정보를 수집하여 체계적인 계획에 의하여 충실히 수행
▒ VE적용 시기와 효과
▒ VE제안의 분류
1) VEP(Value Engineering Proposal) : 설계VE
① 기획 및 설계단계에서 제안된 VE 대체안
② 발주자가 VE팀을 편성하여 프로젝트 전체비용 및 LCC 절감을 목적으로 대안 제시
③ VE효과 : 약 80%, VE 절감액 약 95%
2) VECP(Value Engineering Change Proposal) : 시공VE
① 시공단계에서 시공자가 제안한 VE 대체안
② VE효과 : 약 20%, VE 절감액 약 5%
③ 설계변경을 수반, 공사일정의 차질을 초래할 가능성 높음
▒ VE 단계별 추진절차
1) 준비단계
① 관련자료 수집
② 사용자의 요구사항 측정
③ VE대상의 선정
2) 분석단계
① 기능분석(기능의 정의 및 분류, 기능의 정리, 기능의 평가)
② 아이디어의 창출
③ 개략적 평가 및 구체화
④ 상세한 평가 및 대안의 구체화
⑤ 제안
3) 실행단계
① 시행 및 후속조치
② 종료
▒ 연관문제
LCC(Life Cycle Cost) - FAST(Function Analysis System Technique)
▒ 참고문헌(출처)
1) 건설 VE에 대한 올바른 이해 / 쌍용건설 기술정보
2) 건설업의 VE와 품질경영 / 노순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