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출문제
- 92회 3교시 3번 : SCW(Soil Cement Wall)의 굴착방식, 공법적용 및 시공 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 하시오
- 80회 4교시 5번 : 도심지 흙막이공사에 적용되는 주열식 흙막이벽 공법의 종류(Soil Cement Wall, Cast In Place Pile, Packed In Place Pile)를 비교 설명하시오.
- 76회 4교시 3번 : 흙막이 공법에서 주열식공법에 대하여 배치형식과 특징을 설명하시오.
▒ 정의
① 주열식 공법이란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을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벽체를 형성함으로써 흙막이 벽체를 형성하는 공법을 말한다.
② 기존 타입 말뚝과 비교하여 소음 · 진동이 적고, 엄지말뚝공법에 비해 강성이 커 토압에 대한 변형량이 적고, 주변 지반의 침하량이 적어 인접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
▒ 특징
1) 장점
① 소음,진동 적고, 주변지반 침하 적어 인접건물에 대한 영향 적음
② 겹침시공에 의해 차수성이 높음
③ 말뚝과 주변지반과의 마찰력이 커서 지지력 증가
⑤ 슬러리월 공법에 비해 가격이 저렴
2) 단점
① 느슨한 사층이나 대수층에서 천공벽 붕괴우려
② 수평방향 철근 접속 불가하여 본체구조물 이용 부적합
③ 엄지말뚝 공법에 비해 공사비, 공기 증가
④ 공벽의 안정을 위해 사용하는 이수에 대한 처리 필요
▒ 주열식 말뚝의 배치방법
▒ SCW(Soil Cement Wall) 공법
1) 정의
① 다축 오거를 이용하여 지반을 천공하고 선단으로 부터 시멘트 밀크 등의 혼합액을 분출시켜 굴착토와 혼합하여 소일시멘트벽을 조성하는 공법
② 높은 차수성을 가지고 점성토에서도 비교적 양질의 벽체 형성이 가능한다.
2) 특징
① 저소음, 저진동
② 벽두께, 벽길이를 자유롭게 시공가능
③ 차수성이 매우 높음
④ 점성토에서 비교적 양질의 벽체 형성 가능
3) 공법의 종류(굴착방식)
① 연속방식
② element 방식
③ 선행방식
4) 시공 시 고려사항
① 시공기계는 지반조건, 굴착심도, 그 밖의 것들을 고려하여 현장조건에 적합한 것을 선정
② 시멘트 밀크의 혼합 및 압송장치는 충분한 성능을 보유
③ 시멘트 혼화재 등의 적절한 계량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④ 전력 및 급배수설비 등은 시공에 충분하도록 제공
▒ 프리팩트콘크리트 말뚝(Prepacked Concrete Pile) 공법
1) 정의
① 소정의 위치에 구멍을 뚫고 콘크리트 또는 주위의 흙을 이용해서 만드는 제자리 말뚝
② 기초 지정공사, 흙막이벽, 차수벽을 형성하기 위해 시공
2) 공법의 종류
① CIP(Cast in Place Pile)
② PIP(Packed in Place Pile)
③ MIP(Mixed in Place Pile)
3) CIP(Cast in Place Pile)
① 어스오거로 천공 후 철근망과 자갈을 채운 후 주입관을 통해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제자리말뚝을 형성하는 공법
② 지하수 없는 경질지층에 적합
4) PIP(Packed in Place Pile)
① 스크류오거로 굴착 후 흙과 오거를 끌어올리면서 오거 선단을 통하여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제자리말뚝을 형성하는 공법
② 오거를 뽑아낸 뒤 철근망 또는 H형강 삽입
③ 비교적 연약지반에서 사용
5) MIP(Mixed in Place Pile)
① 중공관으로 된 회전축 선단에서 모르타르를 분출시키면서 토사를 굴착하여 토사와 모르타르와 혼합·교반하여 만드는 Soil Cement 말뚝
② 오거를 뽑아낸 뒤 필요에 따라 철그망 삽입
③ 사질 및 자갈층에 적합
▒ 주열식 공법의 비교
▒ 연관문제
흙막이 공법선정 - 프리팩트(Pre-Packed) 콘크리트 말뚝
▒ 참고문헌(출처)
1) 건설공사 가시설물 안전점검 편람(Ⅲ)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 건축공사 표준시방서 / 03015 흙막이공사
3) 건축시공기술 / 대한건축학회
4) 건축시공학 / 강병두
5) 건축기술지침 / (주)대우건설
'시공기술사 > 토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p Down 공법 (11) | 2013.02.24 |
---|---|
어스앵커(Earth Anchor) 공법 및 붕괴원인 방지대책 (8) | 2013.02.09 |
주열식 흙막이 공법 (4) | 2013.02.09 |
흙막이공법 선정시 고려사항 (1) | 2013.01.28 |
강제배수공법 적용 시 문제점 및 대책 (0) | 2013.01.27 |
J.S.P(Jumbo Special Pile) 공법 (3) | 2013.01.27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문제는 주열식만 물었지만 흙막이공법의 대분류를 넣어주면 좀더 차별화된 답안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안녕하세요.
흙막이 공부중입니다.
위에서 말씀하신 Cip와 Pip공법이 장비랑 적용 지반 다른거 말고는 똑같은거 같은데, 무슨 차이가 난다는 건가요?
Cip는 땅파서 철근망 넣고 모르타르 주입시켜서 콘크리트 말뚝 만드는 거고 Pip는 땅파서 모르타르 주입시켜서 필요시 철근망 넣어서 말뚝 만든다는거 같은데? 공정 순서가 다르다고 차이가 많이 나는지요?(결국 사용되는 재료는 똑같은거 같은데..)
그리고 Pip공법은 모르타르 주입시키고 모르타르가 굳기전에 철근망을 삽입 시킨다는 뜻 맞는지요?
제자리 말뚝은 우리나라에서 특수한 경우가 아닌면 건축에서 사용하는 일이 잘 없는지라 저도 책으로 이해된 부분을 설명드립니다.
PIP는 연약지반에 사용하는 공법으로 공벽 붕괴가 있으면 파일을 형성하는데 문제가 되니 천공후 오거를 올리면서 몰탈을 주입합니다. 그러다 보니 철근망을 미리 설치가 불가합니다. 그래서 마지막에 철근망이나 철골빔을 삽입합니다.
물론 필요시에 삽입하겠죠!!
연약지반이니 장비 또한 스크류오거를 사용이 가능하고요.
CIP는 비교적 단단한 지반에 시공을 하니 연암정도의 지반을 뚫을 수 있는 장비를 사용하고 공벽붕괴 우려가 적어서 오거 빼내고 철근망을 삽입하고 트래미관을 사용하여 몰탈 또는 레미콘을 주입합니다.
위 두 공법중 재료가 같은데 뭐가 다를까요? 철근망을 삽입한 CIP가 더 강도가 좋지 않을까요?
그래서 강성면에서는 CIP가 좋습니다.
단 SCW 다축 오거로 천공하여 벽체를 형성하므로 조인트가 줄어드니 차수성이 좋겠죠.
이해가 되도록 설명을 드렸는지 모르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