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기술사/철골공사

용접부위 결함

기구미 2013. 5. 3. 21:43

기출문제

- 109회 4교시 4번 : 철공공사 용접결함 중 라멜라 테어링(Lamella Tearing)현상의 원인과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103회 4교시 3번 : 철골공사에서 용접결함의 종류, 시공 시유의사항 및 불량용접부위 보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102회 1교시 10번 : 철골용접 결함중 용입부족(Incomplete Penetration)

- 101회 1교시 9번 : 철골용접에서 Lamellar tearing

- 92회 1교시 11번 : 철골용접의 각장부족

- 90회 3교시 3번 : 철골공사 용접결함의 원인과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80회 1교시 11번 : 라멜라 티어링(Lamellar Tearing) 현상

- 72회 1교시 5번 : Lamellar Tearing현상

- 71회 1교시 7번 : Under cut

- 68회 1교시 12번 : Blow Hole

- 67회 1교시 7번 : Fish eye 용접불량

- 66회 3교시 5번 : 철골조 접합부의 용접결함 종류를 나열하고, 방지대책을 기술하시오.



개요

용접부위 결함은 용접자세, 용접전류, 용접속도, 용접봉 결함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한다.

 

용접결함의 종류

1) 비드 외관불량

용접봉의 조작으로 인해 용접금속 표면에 생기는 띠모양을 비드라 .

비드 폭과 모양이 불균일하여 허용치를 넘게 되면 외관불량이

 

2) Spatter(스패터)

용접작업중 용접봉으로부터 튀어나온 용융 금속입자가 식어 굳은

도장과 접합부에 지장을 주기 때문에 제거해야 한다.

 

3) Crack(균열)

용접금속에 금이간 상태

균열이 생기면 응력집중이 무한대가 되므로 가장 위험한 결함중 하나

 

4) Pit · Blow hole

용접시 용접금속 내에 흡수된 가스가 표면에 나와 생성하는 작은구멍을 Pit .

그리고 내부에 그대로 잔류된 기공이 Blow hole

 

5) Slag 혼입

Slag(슬래그) 용접봉의 피복재가 녹아 용접금속 표면에 부상하여 굳은것

Slag 일부가 용접금속 내에 혼입되어 발생

 

* Slag : 제강할 때에 생기는 비금속성 찌꺼기

* Slug : 용접할 열의 발생에 따라 용접봉의 선단에 형성되는 물방울 모양의 용접액, 용적이라고도 한다.

 

6) Crater

용접마지막에 아크를 급히 절단함으로 생기는 우묵히 패인 부분

온도저하로 생긴 용접금속의 수축으로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음

 

7) Under cut

용접시 모재가 녹아 용착금속에 채워지지 않고 홈으로 남게

구조내력상 중대한 결함으로 운봉속도가 빠르거나 용접전류가 발생

 

8) 용입부족

용착금속이 채워지지 않고 홈으로 남게된 부분

운봉속도가 빠르거나 전류가 낮은 경우, 홈의 각도가 좁을 발생

 

9) Fish eye

Blow hole 혼입된 Slag 모여 둥근 은색반점이 생기는 결함

 

10) Over lap

용접시 용착금속이 모재에 융합되지 않고 겹쳐진 결함

용접전류가 약했을 주로 발생

 

11) Throat(목두께) 부족

모살용접에서 용접덧살 두께가 부족하여 발생한 결함

구조내력상 중대한 결함


 

12) 각장부족

모살용접에서 용착면의 길이가 부족하여 발생한 결함

구조내력상 중대한 결함

 

13) Lamellar tearing

철골부재의 용접 이음에 의해 압연강판 두께 방향으로 강한 인장구속 발생

이때 용접금속의 국부적인 수축으로 압연강판의 (Lamination) 사이에 계단모양의 박리균열이 발생하는 현상

T형이음, 구석이음에서 많이 발생


 

용접결함의 원인

용접전류의 불안정

운봉속도의 부적당

용접봉의 결함

용접각도의 불량

모재의 불량

이음부에 이물질 부착

용접부의 개선 정밀도 불량

숙련도 미숙

잘못된 용접순서

 

용접결함의 방지대책

적정전류 공급

용접속도 준수

적당한 용접봉 선택

예열 후열 실시




연관문제

철골의 용접접합 방법 - 철골부재의 용접변형 - 용접부 비파괴 시험

 

참고문헌(출처)

1) 만화로 배우는 철골건물 감리 / 김기좌

2) 건축시공학 / 강병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