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쇼핑을 통해 상품을 주문하면 흔히 뽁뽁이라는 에어캡에 보호된 물건을 받아 보았을 것입니다.
요즘과 같은 겨울철에는 유리에 붙혀 단열용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사용하는 것도 종종 보게 되는데요.
이젠 건설현장에서도 뽁뽁이를 사용합니다. 겨울철 보온양생을 위해 콘크리트 표면에 밀착시켜 열의 손실을 방지하는 공법입니다.
특히 겨울철 매트기초를 타설시 유용한 것 같습니다.
건설신기술 제660호 |
|
▒ 개요
① 이 신기술은 PE필름 소재의 다중에어캡 구조의 시트를 타설된 콘크리트 표면에 피복하여 양생함으로써 콘크리트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화열의 발산을 억제하여 최저기온 -5℃이상의 한중콘크리트에서는 초기동해 방지, 균일한 양생온도 확보, 소정의 재령일에서 소요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② 두께 80cm이상인 기초매트 매스콘크리트에서는 단열보온성능에 의하여 표면부의 온도를 단열보온 유지시켜, 중심부와 표면부간의 수화열 온도차에 의한 균열을 방지하는 건축 구조물의 한중 콘크리트와 기초매트 매스콘크리트 단열보온양생공법이다
▒ 공법 메커니즘(열이동 방지 개념)
① 시멘트 자체에서 발생되는 수화열을 다중에어캡 구조인 버블시트로 시공하여 열의 유출손실을 방지(단열보온양생 공법)
② 열의 전도는 독립기포층으로 구성된 버블시트를 사용하여 열전도율을 최소화
③ 버블시트와 콘크리트를 밀실하게 부착시켜 덮어 주므로 열대류 현상을 축소
④ 투명 PE재는 태양의 일사가 있는 경우 복사열을 흡수
▒ 공법의 특징
① 한중콘크리트 초기동해 방지
② 충분한 양생온도 확보
③ 구조체의 소요강도를 확보
④ 매스콘크리트 수화열 균열 저감
⑤ 소성수축 및 건조수축 균열 억제
▒ 공사비 비교
▒ 콘크리트 양생용 버블시트 구성
▒ 시공순서
▒ 시공이미지
청주대 교양관 |
청주대 예술대 |
청원 상주간 고속도로 |
경기광주 시청사 |
▒ 자료 및 이미지 출처
1) 건설교통인증기술 사이버전시관 / 신기술 상세
2) 홍보용 책자(내용)_660호
3) 다중에어캡(버블시트)를 이용한 한중 및 매스콘크리트용 단열보온양생공법 / 전충근 외 3인
4) (주)중원 G. L. B 홈페이지 (양생버블시트 판매, 시공업체)
'기구미 > 신기술신공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SMART GREEN SYSTEM (건설신기술 제710호) (17) | 2014.01.25 |
---|---|
진공복층유리 (60) | 2014.01.19 |
다중에어캡 단열보온양생공법 (건설신기술 제660호) (23) | 2014.01.11 |
GB-Slab 공법 (건설신기술 제695호) (26) | 2013.12.25 |
Two-way Void Slab 공법 (건설신기술 제628호) (27) | 2013.12.23 |
수직걸림형 전단보강공법 (건설신기술 제706호) (11) | 2013.12.17 |
댓글을 달아 주세요
한중콘 아이템 한줄
감사합니다
요즘 날씨가 많이 추운데...
지에도 단열보온시트 창에 한번 붙여 볼려고 하는데...
이런 시공 방법 괜찮네요...
얼마전 현장에서 기초콘크리트 타설한다고 하길레
이공법 추천했는데 사용하실지...?
비계파이프 설치, 갑바설치, 갈탄 또는 열풍기, 해체 등을 따진다면
작업도 간단 할것 같은데... 그래도 비용이 문제겠지요?
102회에 쓸수도 있겠네요..감사합니다
아마 102회에는 한중콘크리트가 나올 확율이 높죠!! 겨울이라...
한중콘크리트 보양으로 신기술 내용도 좋을듯 하네요^^
음.. 일반 그 뽁뽁이랑 같은 뽁뽁인가요??
일반 뽁뽁이랑 조금 다른것 같네요.
2겹으로 이루어진것 같습니다.
작년겨울에 현장에서 이 업체 불러서 검토했는데 생각보다 단가가 많이 비싸더군요
온도에 따라 사용하는두께도 틀기구요
결국 단가에서 포기하고 안썼지만 갈탄이나 열풍기보다 분명좋은 공법이긴 합니다
그렇군요. 저도 사용해본적은 없어서...
홈페이지에 찾아 보니 1회 시공비가 비슷하거나 저렴한것 같은데
갈탄이나 열풍기보다 더 비싼가봐요??
그래도 반복 사용비는 싸지 않을까요?
새로운 공법~빨리 적용해야죠! ㅎㅎ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현장적용 검토해봐야겠네요...
한번쓰고버리는건가요. 사진을 보니 재활용은 어려울것 같은데... 이중 버블쉬트양생으로 아이템 쓰면 되겠네요. 감사합니다.
같은 현장에서 몇번은 반복 사용 가능한것으로 보입니다.
1회용이라면 너무 낭비아닐까요. 환경적인 문제도 있구요.
위 시공비용에 10회 비용도 있으니 잘 덮었다가 사용하면
문제 없을듯 하네요. ^^
도움이 많이되겠네요~` 감사합니다~!
저희도 겨울공사 하면서 버블시트를 사용했는 콘 표면온도가 오랫동안 유지되더군요 재활용도 되구요 참유용한 겨울보양자재인거 같습니다
버블쉬트 양생 올겨울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했는데 효과는 괜찮은것같습니다.
좋은데.. 단가가.......어떨찌...
제가 있던 현장에서도 검토 했었는데... 발주처의 승인을 못받아서... 결국 포기했죠. 어르신들은 재래식을 넘 좋아하세요.
12월에 골조 타설시 이 방법 알았다면 좀더 쉽게 보양을 했을건데 워낙 힘들게 했던지라 기억이 있네요. 앞으론 검토해서 현장에 적용해 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단가가 좀 들더라도 한중기간에 괜히 어중간하게 하다가 낭패보는것보다 이게 훨씬 좋더라구요 ㅋ
오호 겨울에 공사할때 떠올려 봐야 겟어요 버블~버블~
신공법 작용까지는 항상 반대와 따릅니다. 데이터가 뒷받침되더라도 기존에 했던 방식을 고수하시는 선배님들이 계시거든요.. 동절기에 단가/회수 재사용률, 편이성 등을 검토하여 적용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잘 보았습니다!
공지사항
카테고리
링크
태그목록